top of page
이미지 제공: Marita Kavelashvili

​녹색건축 인증제도란?

개념

7개 전문분야의 평가 항목별 점수를 합산한 등급 인증

건축물의 자재생산, 설계, 건설, 유지관리 폐기 등 전 과정을 대상으로 에너지 및 자원의 절약, 오염물질의 배출감소, 쾌적한 거주환경 조성 등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등을
평가하기 위한 제도로써 토지이용 및 교통, 에너지 및 환경오염, 재료 및 자원, 물순환 관리, 유지관리, 생태환경, 실내환경의 7개 전문분야의 평가 항목별 점수를 합산하여 등
급을 인증하고 있다.

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공공건축물을 대상으로 인증취득을 의무화하고, 인증을 취득한 녹색건축물을 대상으로 지원정책을 발굴하여 공동주택 분양가 가산제, 건축기준 완화,
취등록세 감면, 환경개선부담금 경감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.

화면 캡처 2025-09-25 171323.png
토지이용 및 교통

대지의 보존성, 태양광의 차단 여부, 거주자의
대중교통의 근접성, 근거리 교통수단의 인증기준을
마련하여 친환경 효과를 얻도록 한다.

화면 캡처 2025-09-25 171323.png
재료 및 자원

대지의 보존성, 태양광의 차단 여부, 거주자의
대중교통의 근접성, 근거리 교통수단의 인증기준을
마련하여 친환경 효과를 얻도록 한다.

화면 캡처 2025-09-25 171323.png
토지이용 및 교통

대지의 보존성, 태양광의 차단 여부, 거주자의
대중교통의 근접성, 근거리 교통수단의 인증기준을
마련하여 친환경 효과를 얻도록 한다.

화면 캡처 2025-09-25 171338.png
에너지 및 환경오염

건축물의 에너지 절감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해
신ㆍ재생에너지 활용을 권장하는 인증기준을 마련
하여 친환경 효과를 얻도록 한다.

화면 캡처 2025-09-25 171353.png
유지관리

건축물의 최대 효율과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위한
체계를 마련하고 조직에게 환경이 고려된 체계가
되는 인증기준을 통해 친환경 효과를 얻도록 한다.

화면 캡처 2025-09-25 171353.png
실내환경

건축물의 최대 효율과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위한
체계를 마련하고 조직에게 환경이 고려된 체계가
되는 인증기준을 통해 친환경 효과를 얻도록 한다.

화면 캡처 2025-09-25 171405.png
유지관리

건축물의 최대 효율과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위한
체계를 마련하고 조직에게 환경이 고려된 체계가
되는 인증기준을 통해 친환경 효과를 얻도록 한다.

화면 캡처 2025-09-25 171331.png
에너지 및 환경오염

건축물의 에너지 절감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해
신ㆍ재생에너지 활용을 권장하는 인증기준을 마련
하여 친환경 효과를 얻도록 한다.

화면 캡처 2025-09-25 171331.png
물순환관리

건축물의 에너지 절감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해
신ㆍ재생에너지 활용을 권장하는 인증기준을 마련
하여 친환경 효과를 얻도록 한다.

화면 캡처 2025-09-25 171323.png
토지이용 및 교통

대지의 보존성, 태양광의 차단 여부, 거주자의
대중교통의 근접성, 근거리 교통수단의 인증기준을
마련하여 친환경 효과를 얻도록 한다.

화면 캡처 2025-09-25 171348.png
에너지 및 환경오염

건축물의 에너지 절감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해
신ㆍ재생에너지 활용을 권장하는 인증기준을 마련
하여 친환경 효과를 얻도록 한다.

화면 캡처 2025-09-25 171359.png
생태환경

대지 내부에 녹지 공간 조성이 되고 대상지 환경의
질적 수준 개선 및 도시생태문제의 해결을 위한
인증기준을 마련하여 친환경 효과를 얻도록 한다.

기대효과

녹색건축 인증제도 운영체계

화면 캡처 2025-09-25 163727.png
"​에코빌드랩"

설계와 시공 유지, 관리 등 전 과정에 걸쳐 에너지 절약 및 환경오염 저감에 기여한 건축물에 대한 친환경 건축물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이다. 또한, 지속 가능한
개발의 실현을 목표로 인간과 자연이 서로 친화하며 공생할 수 있도록 계획된 건축물의 입지, 자재선정 및 시공, 유지관리, 폐기 등 건축의 전 생애(Life Cycle)
를 대상으로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건축물의 환경성능을 인증하는 제도를 말한다.

배경 및 필요성

친환경적 요소에 대한 사전 고려는 필수 요소

건축물의 경우 에너지 소비의 1/3, 자원소비의 40%, CO2배출의 50%, 폐기물배출의 20 ~ 50%를 차지하고, 철강 등 기초소재, 수도, 단열재 등 건축자재, 기계설비, 조경
등 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큰 분야라 할 수 있다.

세계적으로 기후변화문제와 관련하여 건축물의 에너지 사용과 CO2 배출 저감 등 환경성 증진방안에 대한 논의가 국제적으로 활발하게 진행 중이고 대도시의 과밀화와 신도
시 개발 등으로 인한 건축물의 신축과 재건축이 활발한 우리나라 현실에서 건축물의 건설과 관련하여 친환경적 요소에 대한 사전 고려가 필요한 것은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
고 있다.

화면 캡처 2025-09-25 172551.png
화면 캡처 2025-09-25 163701.png
bottom of page